양동이에 살아있는 게들을 담아두면 탈출하려는 게를 다른 게들이 끌어내려 결국 한마리도 탈출못하는 그림이 그려진다.
이를 ‘크랩 멘탈리티(Crab Mentality)’라고 한다.
이를 좋게 해석할 수도 있고 나쁘게 해석할 수도 있다.
나쁘게 보면 집단 내에서 누군가가 성공하거나 발전하려 할 때, 이를 질투하여 다른 구성원들이 방해하거나 끌어내리는 심리적 태도를 의미한다.
🦀 크랩 멘탈리티의 본질
이 용어는 게들이 양동이 안에서 탈출하려 할 때, 다른 게들이 이를 끌어내려 결국 모두가 탈출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유래하였다. 이러한 행동은 인간 사회에서도 나타나며, 집단 내에서 누군가가 두각을 나타내거나 성공하려 할 때, 다른 구성원들이 질투나 경쟁심으로 이를 방해하거나 폄하하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좋게 볼 수도 있다. 다른 게들이 기어나가려는 게를 끌어내려 못나가게 막는 것은 바깥 세상이 위험하니 보호차원에서 나가는 것을 막는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 나쁜 의미로 사용한다.
📚 심리학적 배경
크랩 멘탈리티는 여러 심리학적 이론과 관련이 있다.
기본적으로 시기와 질투심의 발로이다.
- 자기평가 유지 이론(Self-Evaluation Maintenance Theory): 개인이 자신보다 가까운 사람이 더 나은 성과를 보일 때 위협을 느끼고, 이를 방해하려는 경향이 있다.
- 상대적 박탈감(Relative Deprivation): 타인의 성공이 자신의 실패로 느껴질 때, 불만과 질투가 생기며, 이는 타인을 끌어내리려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제로섬 편향(Zero-Sum Bias): 타인의 성공이 자신의 손해로 여겨지는 인식으로, 이는 협력보다는 경쟁을 유도하며, 타인의 성과를 방해하려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 일상 속 예시
- 해외이민: 한국은 이제 살기 힘들다,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미래는 없다, 이제 끝났다고 믿는 사람들이 해외 이민을 꿈꾸는 사람이 있으면 주위에서는 말리는 사람이 많다. 나가봐야 별거없다. 그래도 한국이 제일이다. 송충이는 솔잎을 먹고살아야 한다. 해외이민 갔다가 요즘은 다시 돌아온다더라. 계속 끄집어 내린다.
- 직장 내 경쟁: 동료의 승진이나 성과에 대해 축하보다는 비난이나 험담을 한다. 남이 잘나가는 것 절대 못본다.
- 학교에서의 따돌림: 우수한 성적을 받은 학생이 다른 학생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는 경우.
- 가족 내 질투: 형제자매 중 한 명이 성공할 때, 다른 가족 구성원이 이를 인정하지 않고 폄하하는 경우.
- 강남 아파트 사는 사람을 속으로는 다 부러워하면서 겉으로는 욕하는 심리.
🧠 극복 방안
비교의식을 버려야 한다. 남과 비교하면 비참해지거나 교만해진다.
자신만의 삶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삶은 크랩멘탈리티에 빠지지 않는다.
내 길을 걸어가는 것이고 남이 내길을 대신 해 줄수도 없고 , 나만의 길을 작든 크든 , 아름답게 만들어 가면 그걸로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 자기 인식: 자신이 타인의 성공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인식하고,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하려 노력한다.
- 성장 마인드셋: 타인의 성공을 자신의 동기부여로 삼고, 함께 성장하려는 태도를 갖는다.
- 협력의 가치 인식: 경쟁보다는 협력을 통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려는 노력을 기울인다.
- 긍정적 환경 조성: 서로를 지지하고 격려하는 문화를 형성하여, 크랩 멘탈리티를 예방한다.
🔚 결론
크랩 멘탈리티는 개인의 발전뿐만 아니라 집단의 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기 인식과 긍정적인 마인드셋, 협력의 가치 인식이 필요하다. 서로를 지지하고 격려하는 문화를 통해,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사회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지적 욕망 채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톡방에서 목숨걸고 싸우는데 어찌하나요 (1) | 2025.04.08 |
---|---|
결혼식장에 앉아서 드는 생각 (2)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