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와 투자

오늘 지인이 보이스피싱을 당했어요 ㅠㅠ

덕강 2025. 3. 11. 19:44

보이스피싱 예방 가이드: 속지 않는 법을 배우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는 보이스피싱 예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보이스피싱은 전화나 메시지를 이용해 개인 정보를 빼내거나 돈을 가로채는 사기 범죄입니다. 수법이 점점 교묘해지고 있기 때문에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설명에 앞서 저는 보이스 피싱이라고 하면 Voice Fishing 즉 전화 목소리로 사람을 낚아서 돈을 빼가는 걸로 생각했는데, 영어단어가 그게 아니네요,  Voice Phishing 입니다. 참고로 알아두시고요.

1. 보이스피싱의 주요 유형

보이스피싱 범죄는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유형을 살펴보겠습니다.

(1) 기관 사칭형

가장 흔한 수법 중 하나로, 경찰청, 검찰, 금융감독원, 은행 등을 사칭하여 피해자의 금융정보를 빼내는 방식입니다.

"당신의 계좌가 범죄에 연루되었습니다. 안전 계좌로 송금하세요."

"세금이 미납되었습니다. 즉시 납부하지 않으면 법적 조치를 받게 됩니다."
이런 전화를 받았다면 100% 보이스피싱이므로 즉시 끊고, 해당 기관의 공식 전화번호로 확인해야 합니다.

(2) 대출·카드 한도 증가형

금융기관을 사칭하여 대출 이자를 낮추거나 한도를 늘려준다고 속이는 유형입니다.

"신용 등급을 상향시켜 드리겠습니다. 계좌 정보를 알려주세요."

"대출 실행을 위해 먼저 수수료를 입금해야 합니다."
정상적인 금융기관은 선입금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절대 속지 마세요.

(3) 가족·지인 사칭형

가족이나 친구의 이름으로 메시지를 보내거나 전화를 걸어 돈을 요구하는 방식입니다.

"엄마, 핸드폰이 고장 났어. 급하게 돈 좀 보내줘."

"형, 나 급한 일이 생겨서 돈이 필요해."
이런 연락을 받으면 반드시 직접 전화를 걸어 확인해야 합니다.

 

저의 지인도 이 수법에 당했습니다. 사업을 하시는 아는 분에게서 전화가 와서 돈이 급하게 필요한데 1500만원만 차용해 달라는 거였습니다. 당연히 전화번호도 정상이고 그 분 목소리도 정확했습니다. 갑자기 1500만원이란거금은 없지만 5백정도는 도와줄수 있다고 하니 우는 소리를 내면서 꼭 1500만원이 필요하다고 , 마음이 많이 흔들렸지만, 더 이상은 어렵겠다고 단호하게 자르자 그럼 그거라도 빌려달라면서 혹시 농협에서 전화오면 받지말라고 , 받으면 자기가 큰일 난다고 신신당부를 하더랍니다. 실제로 발신자가 농협으로 찍힌 전화가 몇번 걸려왔는데, 받지 않았다고 하네요.

 

이삼일 후에 돈을 빌려간 분이 사무실에 나타나서 대화를 나누었답니다. 그런데 그리 급하게 돈을 빌려가 놓고선 고맙다는 말을 한마디도 않더래여. 서운한 마음이 들어, 사람이 어째 그럴 수 있내. 엊그저께는 그리 죽을 것 처럼 돈을 빌려가놓고선 이렇게 고맙다는 말도 없이 시치미를 뚝 떼는 것은 도리가 아니지 않나 라고 했더니, 깜짝놀라곤, 자기는 돈 빌린적이 없다고, 며칠전에 자기의 핸드폰을 분실했는데, 아마도 보이스 피싱을 당한 모양이라고 하는거예요.  

바로 경찰서에 가서 신고 하고 은행에 지급정지를 신청했다고 합니다.


(4) 상품권 결제·택배 사칭형

택배사, 쇼핑몰, 포털사이트 등을 사칭하여 결제를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미납된 택배비 3,000원을 결제하지 않으면 반송됩니다."

"구글 기프트카드를 구매해 코드 번호를 알려주시면 환불됩니다."
공식 웹사이트나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사실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2. 보이스피싱 예방법

사기 수법을 아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예방입니다. 아래 방법을 실천하면 피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1) 출처 불명의 전화와 메시지는 무조건 의심

모르는 번호로 온 전화는 받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관공서, 금융기관은 절대 전화로 개인정보나 금융 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의심스러운 전화를 받으면 바로 끊고, 공식 채널을 통해 사실을 확인하세요.

(2) 앱 설치 및 원격 조작 요청 거절

사기범들은 보안 강화를 명목으로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합니다.

원격 조작 앱을 설치하면 휴대폰이 해킹당할 수 있습니다.

출처가 불분명한 앱은 절대 설치하지 마세요.

(3) 금융거래 시 본인 확인 철저

계좌 이체나 송금 요청을 받으면 반드시 본인 확인을 해야 합니다.

가족이나 친구가 돈을 요청할 경우, 반드시 직접 전화하여 사실 여부를 확인하세요.

비밀번호, 보안카드 정보는 절대 타인과 공유하지 마세요.

(4) 통신사 스팸 차단 서비스 활용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보이스피싱 차단 서비스를 이용하면 위험한 번호로부터의 전화를 막을 수 있습니다.

전화 설정에서 스팸 필터를 활성화하면 의심스러운 번호를 자동 차단할 수 있습니다.

(5) 경찰청 및 금융감독원 신고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나 문자를 받으면 즉시 경찰청(112)이나 금융감독원(1332)에 신고하세요.

피해를 입었다면 즉시 금융기관에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합니다.

3.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었을 때 대처법

보이스피싱을 당했다면 신속한 대응이 가장 중요합니다.

(1) 금융기관에 연락하여 지급정지 요청

피해금이 빠져나갔다면 즉시 은행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지급정지를 요청하세요.

(2) 경찰 신고 및 사이버수사대 접수

경찰(112) 또는 사이버수사대에 신고하여 사건을 접수하면 추적이 가능합니다.

(3) 계좌 변경 및 추가 피해 예방

피해 계좌를 정지하고, 새로운 계좌를 개설하세요.

개인정보가 유출되었다면 금융기관과 통신사에 알리고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4.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마음가짐

마지막으로, 보이스피싱에 속지 않기 위해서는 항상 의심하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관공서나 금융기관을 사칭하는 전화는 100% 사기입니다.

돈을 요구하는 전화나 문자는 즉시 의심하고 직접 확인하세요.

개인 정보를 요구하면 절대 제공하지 마세요.

돈을 못 벌어도 사기는 당하지 말아야 합니다.

지뢰는 피하는 것이 상책입니다. ㅎㅎㅎ


#보이스피싱 #예방 #사기방지 #금융사기 #개인정보보호 #안전한생활